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선거일에 출근했는데 수당을 못 받았다면? 지금 꼭 알아야 할 근무 보상 기준

by 골드캐쉬 2025. 5. 27.

선거일에도 출근하셨나요?

선거일은 공식적인 법정공휴일입니다. 누구나 투표권을 행사할 수 있도록 보장된 날이죠. 하지만 현실은 조금 다릅니다. 의료, 유통, 운송, IT 분야 등 수많은 업종에서 선거일에도 평소처럼 출근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렇다면, 그 근무에 대한 보상 기준은 어떻게 정해져 있을까요?

이번 포스팅에서는 대통령 선거일에 근무했을 때 받을 수 있는 수당, 또는 대체휴일 규정을 구체적으로 소개합니다. 사례 중심으로 정리했기 때문에, 누구나 쉽게 이해할 수 있습니다.

선거일은 ‘법정공휴일’이자 ‘유급휴일’입니다

2021년 이후, 공무원뿐만 아니라 일반 사업장 근로자도 대통령 선거일에 대해 유급휴일 혜택을 받을 수 있게 되었습니다. 이는 근로기준법공직선거법에 근거하며, 해당 날짜에 출근하지 않아도 하루치 임금은 지급되는 구조입니다.

하지만 출근해야 했다면? 그에 대한 추가 수당 또는 대체휴일이 제공되어야 합니다.

선거일 출근 시 받을 수 있는 보상

① 통상임금의 1.5배 수당

공휴일에 근무하면 휴일근로수당이 발생합니다. 이는 하루 임금의 150%로 계산되며, 예를 들어 통상임금이 1일 100,000원인 경우 150,000원을 지급받아야 합니다.

② 8시간 초과 시 추가 수당

만약 선거일에 8시간 이상 근무했다면, 추가 근로시간에는 연장근로수당이 붙습니다. 이 역시 통상임금의 0.5배 추가 지급이 원칙입니다. 즉, 최대 200%까지 보상받을 수 있습니다.

③ 대체휴일로 대체 가능

수당 대신 대체휴일을 부여하는 것도 가능합니다. 단, 이는 근로자와 사용자의 사전 합의가 있어야 유효합니다. 회사가 일방적으로 지정해선 안 되며, 대체휴일은 연차와는 별개로 처리됩니다.

고용 형태에 따라 달라지는 수당 기준

고용 형태 보상 방식 주의 사항
정규직 유급휴일 + 휴일근로수당 또는 대체휴일 계약서 내 공휴일 조항 확인
단시간 근로자 실근무시간 × 1.5배 근무일로 지정된 날이어야 함
아르바이트 시급 기준으로 비례 계산 출근 여부와 스케줄 확인 필요
공무원/선거사무 종사자 선거수당 및 실비 지급 식비, 교통비 별도 보상

시급제 근로자도 보상받을 수 있을까?

그렇습니다. 시급 근로자라고 해서 예외는 아닙니다. 근무일에 해당하고, 실제 출근했다면 ‘근로 제공’에 따른 수당은 정당한 권리입니다.

단, 계약서에 해당일이 근무일로 포함되어 있어야 하며, 출퇴근 기록 등 객관적인 자료가 있어야 불이익을 피할 수 있습니다.

보상을 받지 못했다면 어떻게 해야 할까?

선거일에 일했는데 수당을 받지 못했다면, 이는 명백한 임금체불입니다. 이 경우 고용노동부 또는 ☎1350을 통해 익명 신고가 가능합니다.

진정 접수 이후에는 근로감독관이 직접 조사를 통해 시정명령을 내리며, 신고자는 법적 보호를 받게 됩니다.

실제 사례로 보는 보상 예시

물류센터 근로자 A씨

선거일 근무, 9시간 근로. 수당 지급 없이 대체휴일만 부여되었으나, 근로자의 문제 제기로 150% 수당 + 연장근로수당 지급받음.

카페 알바생 B씨

시급 9,860원, 5시간 근무. 처음엔 일반 시급만 받았으나, 고용노동부 자료 출력 후 사장과 협의하여 1.5배 시급 적용된 73,950원 수령.

자주 묻는 질문 정리

  • Q. 선거일 3시간만 일해도 수당 나오나요?
    A. 예, 실근무시간 기준으로 1.5배 적용됩니다.
  • Q. 연차에서 차감된다는데 괜찮은 건가요?
    A. 연차는 개인 유급휴가이며, 대체휴일과는 별개입니다.
  • Q. 계약서에 공휴일 관련 내용이 없는데 적용되나요?
    A. 법정공휴일은 계약 유무와 상관없이 자동 적용됩니다.

선거일 출근, 선택이 아닌 지시였다면 보상도 선택이 아닙니다

선거일 근무는 의지보다 ‘필요’에 의해 이뤄집니다. 그렇다면, 그에 대한 보상은 반드시 이루어져야 마땅합니다. 휴일근로수당 또는 대체휴무는 근로자의 권리이며, 선택이 아닙니다.

내가 일한 날, 정당한 대가는 내가 먼저 챙겨야 합니다. 혹시라도 지급받지 못했다면, 지금이라도 근거를 모아 두고 정확히 대응하세요.